서울시 2025 가을 반려동물 강아지 고양이 광견병 예방접종 지원 안내

서울시가 2025년 가을철 반려동물 광견병 예방접종을 지원합니다. 개·고양이 1만 원 접종! 지원 대상, 지정 병원 확인 방법, 야생동물 미끼 예방약 안전 수칙까지 시민 안전을 위한 모든 정보를 확인하고 꼭 접종하세요.

왜 '광견병 예방'이 중요한가요?

1) 광견병, 중요하게 다뤄야 하는 이유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치명적이다"라는 말이 결코 과장이 아닙니다. 광견병은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뇌와 척수가 손상되며, 일단 증상이 시작되면 치료가 거의 불가능한 매우 무서운 질병입니다. 백신 접종만이 유일한 대응책이며, 우리나라 방역 지침에서도 반려동물은 1년에 한 번 이상 예방접종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2) 서울시 지원 사업은 무엇인가요?

서울시는 2025년 가을철을 맞아 광견병 예방접종을 지원합니다. 10월 16일부터 31일까지, 생후 3개월 이상의 반려동물 약 4만 마리가 대상입니다. 지정된 동물병원을 방문하시면 보호자 부담금 1만 원으로 접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야생동물로부터의 전파를 막기 위해 10월 13일부터 27일까지 미끼 예방약 살포도 함께 진행됩니다.

서울시가 매년 봄과 가을에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방역 정책입니다. 반려동물의 접종률을 높여 시민 안전은 물론 동물 복지까지 함께 강화하려는 목적입니다.

접종 대상, 조건, 그리고 절차

1) 어떤 반려동물이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개와 고양이 모두 대상입니다.

  • 반려견의 경우 동물 등록이 완료되어 있어야만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방문 시 등록증이나 인식표를 꼭 챙겨가셔야 합니다.
  • 고양이는 동물 등록 의무가 없으므로, 등록 여부와 관계없이 접종 지원이 가능합니다.

2) 실제 접종 과정과 유의해야 할 점

지정된 동물병원은 각 자치구 구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주의할 점은 병원마다 지원되는 백신 물량이 정해져 있어 소진되면 지원이 끝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방문 전에 반드시 해당 병원에 전화로 문의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 접종 당일에는 반려동물과 보호자가 함께 가야 하며, 반려견의 경우 동물 등록 관련 서류를 꼭 지참해야 합니다.
  • 접종 후에는 드물게 주사 부위 통증, 발열, 식욕 감퇴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며칠 동안 반려동물의 상태를 잘 살펴봐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야생동물 방역 대책

1) 미끼 예방약은 어떤 방식으로 살포되나요?

서울시는 너구리 등 야생동물 사이에서 광견병이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약 4만 개의 미끼 예방약을 살포합니다. 이 약은 먹이 모양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야생동물이 섭취하면 백신 성분이 잇몸 점막을 통해 흡수되어 면역력을 형성하게 됩니다.

살포 구간은 서울 둘레길과 외곽 지역입니다. 약 145km 구역에 걸쳐 50~100m 간격으로, 지점당 15~20개씩 '차단 띠' 형태로 배치됩니다.

2) 시민들이 꼭 알아야 할 안전 수칙

  • 살포 지역에는 현수막과 경고문이 설치됩니다. 사람이 만져 체취가 남으면 야생동물이 먹지 않을 수 있으니, 절대 만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혹시 반려동물이 실수로 미끼 예방약을 먹더라도 괜찮습니다. 이 제품은 개와 고양이를 포함한 50종 이상의 동물에 대한 안전성이 검증되었습니다. 다만, 안전하다고 해서 동물병원에서의 정식 백신 접종 효과를 대신할 수는 없습니다. 반드시 동물병원에서 백신을 맞혀주셔야 합니다.
  • 산책이나 등산 시에는 반려동물과 야생동물이 접촉하는 것을 막기 위해 목줄, 리드 줄 등 안전 장치를 착용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 만약 야생동물이 광견병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거나 의심스러운 동물과 반려동물이 접촉했다면, 지체 없이 방역당국에 신고하거나 동물병원에서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마무리하며

이번 서울시 가을철 광견병 예방접종 지원은 반려동물과 시민 모두의 건강을 지키는 매우 중요한 기회입니다. 아직 접종하지 않으셨다면, 백신이 소진될 수 있으니 미리 병원에 문의하신 후 10월 31일까지 지정 동물병원에서 꼭 접종을 완료해 주세요.

야생동물 미끼 예방약 살포 구역에서는 주변을 잘 살피고 안전 수칙을 지켜주세요. 사랑하는 반려동물이 야생동물과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각별히 주의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